본문 바로가기

CS33

네트워크 시작하기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1장 1장 네트워크 시작하기 1.1 네트워크 구성도 살펴보기 네트워크는 크게 클라이언트와 서버로 나뉨 클라이언트는 서비스를 받는 입장이며 서버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입장 1.1.1 홈 네트워크 일반적으로 [인터넷 → 모뎀 → 공유기 → 단말기] 흐름의 구성도 형성 네트워크는 광케이블을 통해 모뎀과 연결되며, 모뎀은 공유기로 연결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데는 모뎀, 공유기, 단말 간에 물리적 연결이 필요 무선 연결: 무선 랜 카드와 무선 신호를 보낼 수 있는 매체(공기)가 필요 유선 연결: 유선 랜 카드(이더넷 랜 카드: 일반적으로 보드에 내장됨), 랜 케이블(일반적으로 랜선이라고 부름)이 필요 1.1.2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는 안정적이고 빠른 대용량.. 2024. 3. 14.
DHCP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호스트의 IP주소와 각종 TCP/IP 프로토콜의 기본 설정을 클라이언트에게 자동적으로 제공해주는 프로토콜 DHCP에 대한 표준은 RFC문서에 정의되어 있으며, DHCP는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IP주소를 DHCP서버가 중앙집중식으로 관리하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사용하게 된다. DHCP지원 클라이언트는 네트워크 부팅과정에서 DHCP서버에 IP주소를 요청하고 이를 얻을 수 있다. 네트워크 안에 컴퓨터에 자동으로 네임 서버 주소, IP주소, 게이트웨이 주소를 할당해주는 것을 의미하고, 해당 클라이언트에게 일정 기간 임대를 하는 동적 주소 할당 프로토콜이다. DHCP 장점 PC의 수가 많거나 PC 자체 변동사항이 많은 경우 IP 설정이.. 2021. 8. 4.
DNS, DDNS 정리 1. DNS(Domain Name System)란? DDNS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DNS(Domain Name System)에 대해 알아야 한다. 인터넷 상에서 보통 웹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ip주소라는 것을 사용하는데 이는 인터넷에서의 우리가 흔히쓰는 주소와 같은 개념이라고 보면 된다. 즉, 우리가 택배를 보내면 목적지에 해당하는 주소까지 택배기사 분들이 배송해주듯이 인터넷 세상에서도 데이터의 목적지의 ip를 적고 보내면 해당 ip를 가진 컴퓨터까지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 하지만 ip주소는 000.000.000.000 과 같이 연속된 12자리 숫자로 되어있어 일반 사람들이 외우기 힘든 구조로 되어있다. 여기서 필요한 개념이 DNS인데 ip주소를 사람들이 외우기 쉬운 www.naver.com과 같은 .. 2021. 8. 4.
VPN VPN 인터넷과 같은 공중 네트워크를 이용해서 사설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가상의 네트워크를 구성한 것. 여러 지점에 분산되어 있는 사설망을 하나로 통합하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공중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하는 것을 일컫는다. 예를 들어 여러 지점을 소유하고 있는 기업에서 다른 지점 간에 사내 망을 통한 통신이 필요할 때 직접적인 연결을 하기는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에 VPN을 구축하여 공중망을 이용함에도 같은 사내 망을 이용하는 것과 비슷한 효과를 내도록 한다. 공중망을 경유하여 데이터가 전송되더라도 외부인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도록 주소 및 라우터 체계의 비공개, 데이터 암호화, 사용자 인증 및 사용자 액세스 권한 제한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사설망 (Private Network) 특정한 .. 2021. 8. 4.